
l 프리바이오틱스? 프로바이오틱스? 포스트바이오틱스?
현재 장 내 미생물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면서 프로바이오틱스뿐만 아니라 프리바이오틱스, 포스트바이오틱스와 같은 다양한 개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.
먼저 용어에 대해서 간략하게 집어보자
– 프리바이오틱스 : 유익균의 먹이
– 프로바이오틱스 : 유익균 그 자체
– 포스트바이오틱스 : 유익균이 뿜어내는 물질
– 신바이오틱스 : 프리바이오틱스 + 프로바이오틱스
먼저, 프리바이오틱스란 우리 몸의 유익균의 먹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즉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유익균이 장내에서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영양분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포스트바이오틱스란 우리 몸의 장내 미생물이 내뿜는 물질이며, 이 물질은 장이 건강할 수 있도록, 장 점막을 재생해주거나 유해균을 억제하며 유익균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.
l 결론
운동을 열심히 하는 것은 좋다. 그리고 보충제와 닭 가슴살과 같이 단백질을 열심히 챙겨주는 것도 좋다.
그렇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만약 본인이 장 트러블을 겪고 있거나 최근에 감기가 자주 걸린다던지 면역력이 저하되었다고 느낀다면 이는 과도한 운동이나 단백질 섭취로 인해서 몸이 이상 신호를 보내는 것일 수도 있다.
이럴때는 프로바이오틱스, 프리바이오틱스, 포스트바이오틱스를 먹어보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.
Reference
[1] Curi, R., Newsholme, P., Procopio, J., Lagranha, C., Gorjão, R., & Pithon-Curi, T. C. (2007). Glutamine, gene expression, and cell function. Front Biosci, 12(344), 57.
[2] Heijnen, S., Hommel, B., Kibele, A., & Colzato, L. S. (2016). Neuromodulation of aerobic exercise—a review. Frontiers in psychology, 6, 1890.
[3] den Besten, G., van Eunen, K., Groen, A. K., Venema, K., Reijngoud, D. J., & Bakker, B. M. (2013). The role of short-chain fatty acids in the interplay between diet, gut microbiota, and host energy metabolism. Journal of lipid research, 54(9), 2325-2340.
[4] Smith, E. A., & Macfarlane, G. T. (1997). Dissimilatory amino acid metabolism in human colonic bacteria. Anaerobe, 3(5), 327-337.
[5] Hughes, R., Magee, E. A. M., & Bingham, S. (2000). Protein degradation in the large intestine: relevance to colorectal cancer. Current issues in intestinal microbiology, 1(2), 51-58.
[6] Marchesi, J. R., Adams, D. H., Fava, F., Hermes, G. D., Hirschfield, G. M., Hold, G., … & Thomas, L. V. (2016). The gut microbiota and host health: a new clinical frontier. Gut, 65(2), 330-339.
[7] Lambert, G. P. (2009). Stress-induced gastrointestinal barrier dysfunction and its inflammatory effects. Journal of animal science, 87(suppl_14), E101-E108.